Amazon EC2의 기능
- 인스턴스: 가상 컴퓨팅 환경
- Amazon 머신 이미지(AMI): 서버에 필요한 운영체제와 여러 소프트웨어들이 적절히 구성된 상태로 제공되는 템플릿으로 인스턴스를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.
- 인스턴스 유형: 인스턴스를 위한 CPU, 메모리, 스토리지, 네트워킹 용량의 여러 가지 구성 제공
- 키 페어를 사용하여 인스턴스 로그인 정보 보호(AWS는 퍼블릭 키를 저장하고 사용자는 개인 키를 안전한 장소에 보관하는 방식)
- 인스턴스 스토어 볼륨: 임시 데이터를 저장하는 스토리지 볼륨으로 인스턴스 중단, 최대 절전 모드로 전환 또는 종료 시 삭제됨
- Amazon Elastic Block Store(Amazon EBS), 즉 Amazon EBS 볼륨을 사용해 영구 스토리지 볼륨에 데이터 저장
- 인스턴스와 Amazon EBS 볼륨 등의 리소스를 다른 물리적 장소에서 액세스할 수 있는 리전 및 가용 영역
- 보안 그룹을 사용해 인스턴스에 연결할 수 있는 프로토콜, 포트, 소스 IP 범위를 지정하는 방화벽 기능
- 탄력적 IP 주소(EIP): 동적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고정 IPv4 주소
- 태그: 사용자가 생성하여 Amazon EC2 리소스에 할당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
- AWS 클라우드에서는 논리적으로 격리되어 있지만 원할 때마다 고객의 네트워크와 간편히 연결할 수 있는 가상 네트워크인 Virtual Private Clouds(VPC)
AWS EC2 생성 및 SecureCRT로 SSH 접속하기
EC2 생성하기
1. 인스턴스 이름 입력
2. 애플리케이션 선택
3. OS 이미지 선택 (아마존 리눅스 선택)
4. 인스턴스 유형선택 (테스트용으로 프리티어 인스턴스 선택)
5. 키페어 생성 ( EC2 SSH 접속을 위함 )
6. SSH 접속을 위해 체크
7. 스토리지 구성 (프리티어는 최대 30GB 까지 가능)
8. 인스턴스 시작
5.1 키페어 이름 입력 및 유형 선택
5.2 키페어 생성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sample_keypair.pem 파일이 다운로드됨.
sample_keypair.pem 파일은 SSH 접속을 위해 필요 하므로 잘 보관 한다.
EC2 시작 성공 및 상세 정보 확인
EC2 접속하기
1. 브라우저에서 접속
- 클릭 두번이면 EC2 서버에 바로 접속 할 수 있다.
2. SSH 클라이언트에서 접속 하기
2.1 퍼블릭 IPv4 DNS 복사
2.2 SSH 접속 툴 실행 ( SecureCRT)
Hostname에 위에서복사한 IPv4 DNS 를 붙여넣고 PublicKey 속성 선택.
Use session public key setting 을 선택하고 EC2 생성시 다운받았던 키페어를 등록.
2.3 EC2 SSH 접속 성공
[참고]
'Clou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WS CI/CD 구성하기(Jenkins,CodeCommit,CodeDeploy,S3) (0) | 2022.07.08 |
---|---|
AWS CodeDeploy 생성 (0) | 2022.07.07 |
AWS S3 버킷 생성하기 (0) | 2022.07.07 |
AWS CodeCommit 설정 및 git clone (0) | 2022.07.06 |
AWS EC2에 Jenkins 설치하기(docker) (0) | 2022.07.05 |